9급 공무원 토목설계/서론
보이기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편집]굵은 골재의 최대 공칭치수는 다음 값을 초과해선 안 된다.
- 거푸집 양 측면 사이 최소거리의 1/5
- 슬래브 두께의 1/3
- 개별 철근, 다발철근, 긴장재 또는 덕트 사이 최소 순간격의 3/4
- 최대치수 제한하는 이유는 철근을 적절히 감싸주고 콘크리트가 허니콤(Honey Comb)모양의 공극을 최소화하기 위해.
콘크리트 공시체
[편집]- 압축강도용 공시체는 φ150×300mm를 기준으로 하되, φ100×200mm 공시체를 사용할 경우 강도보정계수 0.97을 쓴다.
- 조강 콘크리트는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표준으로 함.
- 보통 콘크리트의 휨강도는 압축강도의 1/5 - 1/7정도
-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재령 28일 휨강도를 적용.
- 콘크리트 부착강도는 인발 시험(pull out test)으로 평가.
콘크리트 강도의 종류
[편집]설계기준압축강도
[편집]fck란? 부재설계 시 기준으로 하는 28일 압축강도
평균압축강도
[편집]
- 이면
- 이면
- 이 사이는 직선 보간. fck=50MPa 이면 대충
배합강도
[편집]배합강도 fcr이란? 배합을 정할 때 목표로 하는 28일 압축강도
♣♣♣
30회 이상 시험기록이 있을 때
둘 중 큰 값 | ||
둘 중 큰 값 | ||
15회 이상 30회 미만의 시험기록이 있을 때
표준편차에 다음 보정계수를 곱해서 표준편차를 정한다.(중간 시험횟수는 선형보간해서 F 구함)
시험 횟수 | F |
---|---|
15 | 1.16 |
20 | 1.08 |
25 | 1.03 |
30 이상 | 1.00 |
만약 15회 미만의 시험이 진행되었으면 위에서 말한 두 개의 식 대신 다음 식을 통해 배합강도를 구한다.(단위 : MPa)
설계강도 fck | 배합강도 fcr |
---|---|
< 21 | fck + 7.0 |
21 - 35 | fck + 8.5 |
> 35 | 1.1fck + 5.0 |
쪼갬인장강도
[편집]= 할렬강도(Splitting strength, fsp) =
- fsp는 fck의 8-10% 정도임.
휨인장강도
[편집]= 파괴계수 fr =
또는
탄성계수
[편집]
탄성계수비
[편집]
경량 콘크리트
[편집]경량 콘크리트 계수
- fsp가 규정되어 있는 경우
- fsp가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λ
- 전경량 콘크리트 0.75
- 모래 경량 콘크리트 0.85
- 보통 중량 콘크리트 1.0
여기서 fsp는 쪼갬 인장강도
콘크리트 배합설계
[편집]- 콘크리트 배합비를 결정하는 데 권장하는 방법은 현장경험이나 실험실의 시험배합 방법이다.
- 콘크리트의 배합과정 기본 단계
- 표준편차 결정
- 소요평균강도 결정
- 통상적인 시험배합이나 적당한 경험기록을 이용하기
- 이전의 현장경험 또는 시험배합 자료가 없을 때에는 물-시멘트비에 의한 방법으로 허가를 얻어 사용 가능.
순서
[편집]- 배합강도 결정
- 물시멘트비 결정
- 굵은골재 최대치수 결정
- 슬럼프 결정
- 잔골재율 결정
- 단위수량 결정
- 단위 시멘트량 결정
- 단위 잔골재량 결정
- 단위 굵은골재량 결정
- 단위 혼화재료량 결정
- 시방배합 결정
- 현장배합 결정
시방배합표
[편집]굵은골재 최대치수(mm) | 슬럼프 범위(mm) | 공기량 범위(%) | 물-시멘트비 W/C (%) | 잔골재율 S/a (%) | 단위량(kg/m3) | |||||
---|---|---|---|---|---|---|---|---|---|---|
물
W |
시멘트
C |
잔골재
S |
굵은골재
G |
혼화재료 | ||||||
혼화재 | 혼화제 | |||||||||
레디믹스트콘크리트
[편집]- 주문자가 콘크리트 강도를 검사하기 위한 시험은 반죽된 콘크리트 120m3 당 1회를 원칙으로 함.[1]
콘크리트 체적변화
[편집]건조수축
[편집]-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건조수축량 커짐
- 시간 경과할수록 건조수축량은 점점 작아짐
- 철근이 건조수축에 저항하기 때문에 철근량이 많을수록 건조수축량 작아짐.
- 건조수축으로 콘크리트는 인장응력, 철근은 압축응력을 받음.
- 건조수축은 상재하중과 무관.
- 단위 시멘트량 많을수록 건조수축 큼.
-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수축에 미치는 영향은 온도가 올라가기 전에 콘크리트의 함수상태, 온도증가 후의 수분손실 등에 따라 크게 변한다.
- 콘크리트 건조수축은 물시멘트비와 시멘트량이 감소할수록 수축도 감소한다.
- 습도가 크면 건조수축 변형률은 감소.
크리프
[편집]♣♣♣
- 크리프 : 일정한 응력을 장시간 받았을 때 시간 경과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
- 탄성한도 내에서 크리프 변형률은 작용 응력에 비례하고 탄성계수에 반비례
- 콘크리트 크리프는 물시멘트비와 시멘트량이 감소할수록, 수화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 콘크리트 크리프는 재령보다 해당 재령에서 수화율에 더 큰 영향을 받는다.
- 콘크리트 재령이 클수록 크리프 변형률의 증가비율이 감소된다.
- 압축강도가 클수록 작다.
- 온도가 높아지면 크리프가 커진다.
- 습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작아진다.
- 단면 치수가 작을수록 크리프 변형률은 증가
- 다짐이 불충분하면 크리프 변형률은 증가.
- 크리프계수 Cu
옥내 옥외 수중 3.0 2.0 1.0 이하
- εi : 탄성변형률
철근
[편집]- 배력철근 : 사용이유는 주철근을 조립하고 응력을 분산시키려고. 부가 효과 : 주철근 간격 유지. 콘크리트 건조수축,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 감소시킴. 특히 이런 목적으로 배근하는 철근을 수축 및 온도철근이라 함.
- 현장치기 콘크리트 공사에서 나선철근 지름은 10mm 이상
- 나선철근 정착은 나선철근 끝에서 추가로 1.5회전 더 확보해야 함.
- 나선철근은 확대기초판 또는 기초슬래브 윗면에서 그 위에 지지된 부재의 최하단 수평철근까지 연장되어야 함.
철근의 간격
[편집]- 동일 평면에서 평행한 철근 사이 수평순간격은 25mm 이상, 철근 공칭지름 이상, 굵은골재 최대치수 이상[2]
- 보의 주철근을 2단 이상 배치할 경우 연직 순간격 25mm 이상
- 기둥 축방향 철근 순간격은 40mm 이상, 철근 공칭지름의 1.5배 이상. 굵은골재 최대치수의 4/3배 이상.
- 슬래브 정, 부모멘트 철근 중심간격은 위험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2배 이하, 300mm 이하. 기타 단면에서는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450mm 이하.
- 나선철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 75mm 이하.
- 벽체 또는 슬래브에서 휨 주철근 간격은 벽체나 슬래브 두께의 3배 이하, 450mm 이하. 콘크리트 장선구조는 제외.
-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27MPa 이하인 경우, 부재단에서 프리텐셔닝 긴장재 중심간격은 강선의 경우 5db, 강연선은 4db 이상이어야 한다.
- 철근을 다발로 사용할 때는 이형철근이어야 하고, 개수는 4개 이하.
- 각 철근 다발의 철근단은 철근 모두를 받침부에서 끝나게 하지 않는다면 적어도 철근 지름의 40배 길이로 서로 엇갈리게 끝내야 한다.
철근의 피복두께
[편집]- 띠철근 기둥에서 피복두께는 띠철근 표면으로부터 콘크리트 표면까지 최단거리
- 수직스터럽이 있는 보에서 피복두께는 스터럽 바깥면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 최단거리
- 나선철근 기둥에서 피복두께는 나선철근 바깥면에서 콘크리트 표면까지 최단거리
현장치기 콘크리트 피복두께
[편집]♣♣♣ 전단철근 직경 기준으로 하는 듯...?
종류 | 피복 두께
(mm) | ||
---|---|---|---|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 | 100 | ||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 |
75 | ||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
♣♣♣D29 이상 | 60 | |
♣♣♣D25 이하 | 50 | ||
♣♣♣D16 이하 | 40 | ||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
슬래브, 벽체, 강선 | D35 초과 | 40 |
D35 이하 | 20 | ||
보, 기둥
(이면 10mm 저감 가능) |
40 | ||
쉘(Shell), 절판 부재 | 20 |
(KDS 14 20 50 :2018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 4.3 최소피복두께)
특수환경에 노출되는 콘크리트 피복두께
[편집]- 현장치기 콘크리트 D16 이하 철근을 사용한 벽체, 슬래브 : 50mm
- 현장치기 콘크리트 기타 : 80mm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슬래브 : 40mm
- 현장치기 콘크리트 중 수중에서 타설하는 콘크리트 : 100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