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교양/번역
자료 정보 | ||
---|---|---|
| ||
| ||
| ||
이 글은 번역과 번역론을 다룬다. 번역은 남의 글을 옮기는 것이 아니라 새로이 창작하는 과정이며, 번역 문화가 없었다면 지금보다는 훨씬 척박한 문화생활을 하고있을 것이다.
입문
[편집]이희재의 '번역의 탄생'은 한국어와 번역에 대해 치열하게 고민한 한 번역가의 노작이다. 자신의 비교 체험이 빼곡하게 담겨있을 뿐 아니라 번역가로서의 업력이 쌓여 우리말과 어순 등에 대해 누구보다도 쉽게 풀어쓴 글을 내놓았다.
쓰지 유미의 '번역사 오디세이'는 일본의 한 번역가가 번역사와 역사적 번역 논쟁등을 쉽게 다룬 책이다. 번역 자체에 대해 흥미를 가지게 만든다.
m:ko:마루야마 마사오와 가토 슈이치가 대담한 기록인 '번역과 일본의 근대'는 근대 일본이 번역을 통해 어떻게 변해갔는가를 쉽고 명쾌하게 적어간 명저이다. 어떻게 일본이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다른 길을 걷게 되었는지 이 책만큼 명확하게 제시한 책은 없다고 해도 좋을 정도이다.
김욱동의 '번역과 한국의 근대'는 번역과 일본의 근대에서 자극받아 나온 책이다. 한국의 근대화 과정에서 번역이 어떤 역할을 해왔는가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기본
[편집]박상익의 '번역은 반역인가'는 번역에 대한 저자의 여러 글을 모은 책이다. 박상익은 여기서 상당히 단정적인 논조를 펼쳐 날선 비평을 하기 때문에 그것만으로도 상당히 도발적이고 재미있다. 자기반성이 가득하여 어쩌면 읽는 당신에게 부끄러운 기분이 들게 만들지도 모른다.
'최고의 고전 번역을 찾아서'는 번역서에 대한 비평을 모은 도발적인 책이다. 고전이 재미없는 것이 아니라 잘못된 번역이 재미없는 고전을 만든다는 관점으로 접근한다. 번역비평이 거의 없다시피한 한국 지성계에 꼭 필요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야나부 아키라의 '번역어 성립사정'은 번역과 일본의 근대에서도 다룬 개념번역의 사례를 하나하나 개별적으로 다룬 책이다. 좀 더 구체적인 편이다.
심화
[편집]- 김욱동의 '근대의 세 번역가-서재필, 최남선, 김억'
- 리디아 리우의 '언어횡단적 실천'
- 김병철 '한국근대번역문학사 연구' / 한국근대서양문학이입사 연구 / 한국근대서양문학 번역논저 연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