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고등학교/한국사/불교

위키배움터
자료 정보
진행 상황: 이 자료는 아직까지 만들어지는 중입니다. 여러분이 빨리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교육 수준: 이 자료는 고등학교 강의 수준의 자료입니다.
자료 형식: 이 자료는 강의형식의 자료입니다.
과목 정보: 이 자료는 한국사 과목의 자료입니다.


고대의 불교[편집]

삼국시대는 4세기경에 불교를 수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중국으로부터 불교를 수입했는데, 왕실이 중심이 되었습니다. 이는 당시의 수많은 원시 신앙을 하나로 통합할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인데, 불교는 이러한 요구에 걸맞는 고급 종교였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왕실이 중심이 되어 불교를 수입하게 되었습니다.

고구려는 삼국시대의 세 나라 중에서 가장 먼저 불교를 받아들였습니다. 고구려는 전진으로부터 372년, 불교를 도입하게 됩니다. 그 다음인 백제의 경우는 침류왕 때인 384년,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도입하였습니다. 신라는 한반도 동쪽에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불교의 수입이 늦었으며, 더욱이 고구려에게서 불교를 받아들이게 됩니다.

유이민 집단이 건국 주체가 되었던 고구려나 백제는 불교를 무리 없이 잘 수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신라의 경우는 토착 귀족의 반발이 심해 불교를 받아들이는 데에 장애가 컸습니다. 불교를 공인하기까지 거의 1세기 가량이 필요했습니다. 종국엔 이차돈의 순교로 법흥왕 때에 불교를 공인하게 됩니다.

참고로, 고대의 불교에서는 의상과 원효의 업적을 주로 다룹니다.

원효[편집]

원효는 일체유심조를 주장하였고, 일심사상을 주장합니다. 모든 것이 마음에 달려 있기 때문에, 마음의 성찰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원효는 먼저, 불교 사상의 체계정리에 이바지했습니다. 금강사매경론, 대승기신론소 등의 서적은 원효가 쓴 서적들입니다. 또, 종파 간의 융합을 위해 화쟁 사상을 주장했습니다. 종파 간에는 수양법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근본이 같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백성들에게 정토종을 보급하였습니다. 이는 불교의 대중화에 큰 뒷받침을 하게 됩니다. '나무아미타불'만 외면, 극락에 이른다는 것이 바로 정토 사상입니다.

의상[편집]

의상은 당나라에서 유학을 하고 돌아와 신라에서 화엄종을 개창하게 됩니다. 의상은 화엄일승법계도라는 서적을 쓰는데, 모든 존재가 의존적이면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외의 고승들[편집]

혜초는 인도를 직접 돌아와 왕오천축국전을 썼습니다. 참고로, 왕오천축국전은 현재 프랑스에 있습니다.

중세 (고려)의 불교[편집]

고려 시대의 불교는 최부터 국가의 후원을 받았습니다. 태조는 불교를 지원하였고, 많은 사원을 세웠습니다. 그의 훈요 10조에서도, 불교를 숭상하라는 것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불교 통합 운동[편집]

의천은 흥왕사를 설립하고, 교종의 통합운동을 하였습니다 또한, 국청사를 설립하여, 선종 통합을 위해 천태종을 창시하였고, 교관겸수를 제창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교계의 폐단과 관련한 적극적인 대책을 제시하지 못하였고, 결국 의천의 사후 다시 교단이 분열하게 되었습니다.

결사 운동[편집]

지눌은 불교 본연의 자세와 불교 개혁을 주장하면서, 수선사에서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를 주장합니다. 또, 수선사 결사를 기반으로 해서 조계종이 고려 불교의 중심으로 발전하게 됩니다. 백련사에서는 요세가 참회와 법화 신앙을 중심으로 결사 운동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조선의 불교[편집]

부처의 말에 "사람은 죽어도 정신은 멸하지 않으므로 태어남에 따라 다시 형체를 받는다." 하였으니, 이에 윤회설이 생겼다. .... 하늘과 땅 사이는 붉게 타는 화로와 같아, 비록 생물이라 할지라도 모두 다 녹아 없어진다. 어찌 이미 흩어진 것이 다시 합하여지며, 이미 간 것이 다시 올 수 있으랴.

– 《삼봉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