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포털:고등학교/정보·통신 계열 전문 교과(2015)/컴퓨터 시스템 일반/네트워크 설정 명령어

위키배움터
네트워크 설정 명령어
(1)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방법
(2)리눅스 네트워크 서비스 관리 명령어의 이해
(3)네트워크 설정 명령어 요약

(1)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방법[편집]

①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방법[편집]

-리눅스는 윈도우와 동일하게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선 네트워크,무선 네트워크 IP 정보를 설정하고 할당받아야 합니다.
 IP 할당은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으로 할당받는 경우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수동 할당 방식이 있습니다.

ⓐ네트워크 IP 자동 할당[편집]

-네트워크 IP 자동 할당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라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DHCP를 사용할 경우 네트워크 설정 시 IP 주소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고 공유기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가능한 IP 주소를 할당시켜 줍니다. 또한 사용 가능한 IP를 할당해 주기에 기존에 할당 받았던 IP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라면 새로운 IP 주소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DHCP란?IP 주소와 같은 TCP/IP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성 파라메터들을 동적으로 설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준 네트워크 프로토콜(컴퓨터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때의 통신방법에 대한 규칙과 약속)이다.

ⓑ네트워크 IP 수동 할당[편집]

-네트워크 IP 수동 할당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IP 주소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수동 할당의 경우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사용자가 직접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IP 정보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동 할당을 사용합니다.

②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명령어[편집]

⒜ifconfig[편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 정보 확인 및 장치 사용, 사용 중지 설정을 합니다.
 *NIC란?인터넷정보센터(Network Information Center)는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IP주소, 도메인이름 등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도메인 이름의 등록 및 관리기관이다.
        랜카드라고 불리기도 한다.
NIC 정보 확인 ifconfig
NIC 장치 사용 ifconfig NIC명 up
NIC 장치 사용 중지 ifconfig NIC명 down

⒝ifup[편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 장치를 사용하도록 설정 합니다
NIC 장치 사용 ifup NIC명

⒞ifdown[편집]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 장치를 사용 중지하도록 설정 합니다
NIC 장치 사용 중지 ifdown NIC명

⒟route[편집]

-라우팅 테이블 확인 및 설정을 변경 합니다.
 라우팅 테이블(Route table)?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목적지 주소에 도달하기 위한 최적의 네트워크 노선 정보이다.
라우팅 테이블 확인 route
기본 게이트웨이 추가 route add default gw IP 주소 dev NIC명
기본 게이트웨이 삭제 route del default gw IP 주소 [dev NIC명]

⒠ping[편집]

-네트워크 통신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 합니다.
네트워크 통신 확인 ping URL명 또는 IP 주소

(2)리눅스 네트워크 서비스 관리 명령어의 이해[편집]

①리눅스 네트워크 장애 요소[편집]

- 리눅스는 네트워크 장애 관리를 위하여 명령어들을 제공 합니다.
  네트워크 장애 발생시 네트워크 명령어들을 사용하여 장애 원인을 찾고 분석 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  
  니다.

②리눅스 네트워크 장애 증상[편집]

- 인터넷이 안 된다.
  인터넷이 느리다.
  ip 할당을 못 받는다.
  해킹이 의심된다.

③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편집]

-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들은 네트워크 사용 시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 용도로 주로 사용 
  됩니다. 

㉠netstat[편집]

-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 데이터 (송수신, 패킷 통계 등)를 확인 합니다.
  패킷(Packet)? 네트워크 데이터 동신 시 사용되는 기본 전송 단위를 말한다.
NIC 정보 및 통계 netstat -i
패킷 통계 확인 netstat -s

㉡nslookup[편집]

- 네임서버(Name Server)와 관련된 내용을 검색 합니다.
 *DNS란?네트워크에서 도메인이나 호스트 이름을 숫자로 된 IP 주소로 해석해주는 TCP/IP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DNS 기본정보 확인 nslookup URL 주소
DNS 메일서버 확인 nslookup -type=mx URL 주소

㉢traceroute[편집]

- 입력한 URL 주소까지 어떤 경로(라우터)로 이동하는지 경로를 확인 합니다.
 *URL이란? 인터넷상의 파일 주소이다.
URL 접속경로 확인 traceroute URL 주소

㉣tracepath[편집]

- MTU(Max Transfer Unit)를 사용하여 URL 주소까지 경로를 확인 합니다.
URL 접속경로 확인 tracepath URL 주소

㉤tcpdump[편집]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를 통과하는 패킷을 캡쳐 합니다. 
  주로 네트워크 연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NIC 실시간 패킷 캡쳐 tcpdump -i eth0
패킷 캡쳐 파일 저장 tcpdump - i eth0 -w 파일명
캡쳐 파일 확인 tcpdump - r 파일명

(3)네트워크 설정 명령어 요약[편집]

①리눅스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의 이해[편집]

- 리눅스는 네트워크 설정을 위하여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 명령어와 설정 파일들을 제공합니다.
ifconfi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NIC)정보 확인 route 라우팅 테이블 확인 및 설정
ifu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 가능 상태 설정 ping 네트워크 정상 동작 확인 시 사용
ifdown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사용 중지 상태 설정 IP할당 파일 /etc/network/interfaces 설정 파일 사용하여 IP 자동 및 수동 할당 설정

②리눅스 네트워크 서비스 관리 명령어의 이해[편집]

- 리눅스는 인터넷 사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 분석을 위한 네트워크 서비스 관리 명령어를 제공합니다.
netstat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 확인
nslookup 네임서버와 관련된 내용 검색
traceroute 입력한 URL 주소까지 이동 경로 확인
tracepath MTU를 사용하여 입력한 URL 주소까지 이동 경로 확인
tcpdum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과하는 패킷 캡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