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고등학교/과학 계열 전문 교과/정보과학(2015 개정)/프로그래밍의 기초

위키배움터

1.변수의 이해 1-1 변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필요할 때마다 값을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는 기억 장소. 변수라는 기억 장소는 그 장소에 기억된 값과 일대일로 대응되기 때문에 변수는 변경이 가능한 수이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사용된 변수들은 거의 지정된 값으로 해석하지만, 대입문(=)의 좌변에서 사용되거나 함수의 매개 변수로 사용될 때는 기억 장소로 해석해야함. 1-2 변수의 특징 :1) 변수는 사용하기 전에 미리 선언되어야 한다. 2)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의 이름, 변수에 저장할 자료의 유형, 기억 장소의 크기가 결정된다. 3) 변수에 저장되는 자료는 변수의 자료형과 일치해야 한다. 4) 변수에 저자오딘 값은 언제든지 변경할 수 있다. 1-3 변수명 작성 규칙 : 1) 영문자, 숫자, 밑줄로 구성되며, 공백은 포함X. 2) 첫 글자는 반드시 영문자나 밑줄로 시작해야 한다. 3) 대문자와 소문자는 엄격하게 구분된다. 4) 예약어는 변수명으로 사용할 수 없다. 예약어: 그 의미와 사용법이 이미 정해져 있는 단어

2 변수의 선언과 사용 방법 변수는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미리 선언되어야 한다. 자료형 변수명 1: int num; 2: float x, y, z; 1은 정수를 지정할 수 있는 기억 장소를 하나 확보하고 기억 장소 이름을 num으로 지정한다. 2는 실수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 장소를 섹 확보하고 기억 장소 이름을 x, y, z로 각각 지정한다. 변수에 값을 지정하려면 대입 연산자(=)를 사용해 좌변에는 변수 이름, 우변에는 값을 표현. 변수명 = 값 예) num=10; x=2.5; y=5.7; z=x*x+y*2+1; 정리 : 변수는 값을 변경할 수 있는 기억 장소로서, 변경된 값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때 효과적임. 변수는 사용되기 전에 적절한 자료형으로 선언되어야 함.

3.변수의 자료형 3-1 자료형: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의 형식을 말함. C 언어의 기본적인 자료형에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이 있음. 3-2 정수형: 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자료형. 정수는 소수점을 포함하지 않은 수이다.C 언어의 정수형 선언자로는 char, short, int, long, long long 등이 있다. 자료형) char형은 아스키 문자의 코드번호를 정수로 기억한다. 선언자 앞에 unsigned를 붙이면 부호가 없는 정수로 나타낼 수 있다. 자료형의 크기는 운영 체제나 컴파일러에 따라 차이가 있다. (sizeof()는 함수처럼 사용할 수 있지만, 기억 장소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구하는 연산자이다.) (자료형의 표현 범위에 대한 정보는 limits.h 헤더 파일에 정의되 있음) 3-3 실수형: 실수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형. 실수는 3.14, 314e-2와 같이 소수점이 포함되어 있거나, e 또는 E를 사용해 지수 형식으로 나타낸 수이다. C 언어의 실수형 선언자로는 float, double, long double 등이 있다. (지수 형식: 314e-2는 314/100 을 의미한다.) (실수 표현 방식: 대부분 IEEE754 표준에 따름) 3-4 문자형: 문자 하나를 표현할 수 있는 자료형. 문자는 'A'와 같이 작은따옴표로 둘러싸인 한 개의 문자로서, 일반적으로 아스키코드표상에 있는 문자를 표현한다. 문자형 선언자로는 char을 사용함. char형은 1바이트 크기의 정수형이라고 할 수 이다. char형 기억 장소에 문자를 저장하면 실제로 저장되는 것은 문자 자체가 아닌 문자 코드이다. 예: 'A'를 저장하면 실제로는 'A'의 아스키코드인 65가 저장된다. 'A'와 65는 완전히 동일한 값이다. (아스키코드: 아스키 문자는 제어 문자, 알파벳 대문자/소문자 수치문자, 특수 문자 등 128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정리 :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기본적인 자료는 정수, 실수, 문자이다. 정수의 자료형은 char, short, int, long, long long 등이 있고, 실수의 자료형은 float, double, long double 등이 있고, 문자의 자료형은 char가 있다.

4. 상수 4-1 상수: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는 값을 변경할 수 없는 데이터를 말함. 상수를 숫자나 문자와 같은 실제 값으로 표현한 것은 리터럴 상수 라고 한다. 예: 17, 3.14 , 'A', "computer"등이 있다. 변수가 자료형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이 상수도 자료형을 갖고 있다. 상수는 자료형에 따라 정수, 실수, 문자 상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4-2 정수 상수: 정수 상수의 표현 규칙 1) 소수점(.) 포함X 2) 수치 앞에 부호(+,-)를 포함O, +는 생략 가능 3) 정수는 기본적으로 10진수이며, 수치 앞에 0을 붙이면 8진수, 0x를 붙이면 16진수로 인식함 4) 정수 상수의 기본 자료형은 int형으로 4 byte 기억 공간에 -2의 31승+1 ~ 2의 31승-1 범위의 정수를 저장가능하다. 5) 수치 뒤에 LL 또는 ll을 붙이면 long long형 상수로 인식한다. 4-3 실수 상수: 실수 상수의 표현 규칙 1) 소수점을 포함하거나, e 또는 E를 사용하여 지수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2) 수치 앞에 부호(+,-)를 포함O, +는 생략 가능 3) 실수는 기본적으로 10진수 4) 실수 상수의 기본 자료형은 double형으로서 8 byte 기억 공간에 실수를 저장함. 수치 뒤에 F 또는 f를 붙이면 float형 상수가 된다. (float형 자료의 표현 범위는 -3.4*10의38 ~ +3.4*10의38승) 4-4 문자 상수: 문자 상수의 표현 규칙 1) 문자 하나를 작은따옴표()로 둘러싸서 표현 2) 알파벳 대문자/소문자, 수치 문자, 특수 문자, 제어 문자 등의 아스키코드 문자와 다국어 지원을위한 유니코드 문자 등을 사용가능 3) 이스케이프 시퀀스는 단일 문자로 간주되어 문자 상수로 사용할 수 있다. 4) 문자 상수에 실제로 저장되는 것은 문자가 아닌 문자 코드이다. 정리 : 상수는 프로그램 실행 도중에는 값을 변경할 수 없는 데이터이다. 상수도 변수와 마찬가지로 자료형을 갖는다.

5. 기호 상수 5-1 기호 상수: 값에 이름을 붙인 것. 기호 상수를 만들려면 #define을 사용하여 소스 코드 상단에 다음과 같이 명시해야 한다. #define 이름 상숫값 (예: #define PI 3.14) 예에서 기호상수 PI가 3.14로 정의되었기 때문에, 프로그램 내에 PI가 사용된 곳은 모두 3.14로 치환됨. 따라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콘솔 창에 3.14가 출력된다. 기호 상수의 정의만 변경하면 모든 값이 동시에 변경되기 때문에, 소스 코드 내에서 동일한 상수가 여러 번 사용될 때 효과적이다. (가독성: 기호 상수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가독성이 높아진다.) 정리 : 기호 상수는 리터럴 상수에 이름을 붙인 것이다. 기호 상수를 사용하면 프로그램의 가독성이 높아진다.

6. 자료의 대입과 연산 6-1 자료의 도입: 정수, 실수, 문자 등의 값을 변수에 저장하는일. 값을 변수에 대입하는 방법은 등호를 사용하여 대입문을 작성하는 것이다. 대입문의 작성 형식은 변수명 = 값 . 6-2 산술 연산자: 정수나 실수를 이용한 계산으로 사칙 연산인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과 몫, 나머지를 구하는 것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