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문학 용어

위키배움터

상위 문서 : 수문학

  • 초과강우량(rainfall excess, Pe) : 유역 출구지점으로 흐르는 강우. P - Pe - S = 0. S는 유역저류량[1]
  • 유역 : 강수로 인해 하천 임의 단면의 단일 출구 지점에서 유출을 발생시키는 범위[2]
  • 유출 : 유역의 초과강우량이 출구지점에서 모이는 것[1][3]
  • 지표면 유출 : 지표면 및 지상의 각종 수로를 통해 유역 출구에 도달하는 유출[4]
  • 지표하 유출 : 지표 하, 지하수위 위를 흘러 하천을 향해 흐르는 유출[4]
  • 하상계수 : 하천 임의 지점에서 특정 연도 최대유량을 최소유량으로 나눈 값[5]
  • 가능최대강수량(PMP) : 어떤 지역에서 생성될 수 있는 가장 극심한 기상조건하에서 발생 가능한 호우로 인한 최대 강수량.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설계에 이용되는 강수량.[6]

수문기상론[편집]

  • 일평균기온(mean daily temperature) : 가장 많이 쓰이는 방법은 일 최고 및 최저 기온을 산술평균하는 것. 하루의 시간별 기온을 평균할 수도 있고 3 또는 6시간 간격 기온을 평균할 수도 있음[7]
  • 월평균 기온(mean monthly temperature) : 월의 일 평균 기온 중 최고값과 최저값을 평균한 것.[7] 일평균 기온을 평균한 것이라는 설명도 있음.[8]
  • 연평균 기온 : 해당 년의 월 평균 기온 평균값[7]
  • 정상기온(normal temperature) : 특정일이나 월, 계절 혹은 연에 대한 최근 30년 평균기온[7]
    • 정상 일 평균 기온(normal daily temperature) : 특정일의 30년간 일 평균 기온을 평균한 기온[7]
    • 정상 월 평균 기온 : 특정 월에 대한 장기간(30년) 월 평균 기온의 산술평균값[7]

추가 참고 자료

  • 임진근 외 (2015). 《토목기사 필기 과년도 수리수문학》. 성안당. 387쪽. 

  • 응축(condensation) : 수증기가 물, 눈, 얼음으로 바뀌는 현상[9] 수증기가 액체로 변하는 것만 말한다는 책도 있다.[10]
  • 증기압(vapor pressure) : 공기와 수증기의 혼합체에서 수증기가 가지는 부분압[9]
  • 포화증기압(saturation vapor pressure) : 공기가 수증기로 포화되어 평형상태에 이르렀을 때 수증기 분자가 수표면에 가하는 압력.[9]
  • 이슬점(dew point) : 일정 압력, 물-수증기 비에서 공기가 냉각될 때[11] 포화상태에 도달할 때의 온도[12]
  • 잠재열(latent heat) : 온도 변화가 없는 상태에서 물체의 상태가 변화할 때 드는 열.[13]
  • 잠재증기화열(latent heat of vaporization) : 온도 변화 없이 액체에서 기체로 바뀌는 데 필요한 단위질량 당 열량[12]
  • 잠재융해열(latent heat of fusion) : 온도 변화 없이 고체에서 액체로 바뀌는 데 필요한 단위질량 당 열량[12]
  • 절대습도(absolute humidity) : 1cm3 공기에 포함된 수증기의 양을 g으로 나타낸 것.[14]
  • 상대습도
  • 비습도(specific humidity) : 습윤공기 단위질량 당 수증기 질량[g/kg][11][14]

하천유역분석[편집]

  • 유출수문곡선(runoff hydrograph) : 시간에 따른 유출을 나타낸 것.[15]
  • 유역면적(drainage area) : 분수계로 둘라싸인 부분의 면적.[16]
  • 유역 길이(basin length, L): 유역 출구부터 본류 따라 유역 경계까지 곡선 거리[16]
  • 하천 연장(본류 길이, main stream length, Lc): 유역 출구부터 본류 시작점까지 곡선 거리[16]
  • 유역 중심 거리(length to center of area, Lca): 유역 출구부터 본류 따라 유역 중심에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곡선 거리. 유역중심이란 유역을 수평면에 투영했을 때의 무게중심을 말한다.[16]
  • 조정 거리(L10-85): 유역 출구부터 본류를 따라 하천 길이 10 ~ 85% 구간의 곡선 거리[16]

강수[편집]

  • 누가우량곡선(rainfall mass curve) : 관측 우량을 계속 누가해서 만든 하나의 곡선[17]
  • 우량주상도(rainfall hyetograph) : 시간구간별로 평균강우강도를 표시한 막대 그래프.[17]
  • 이중누가우량분석(double mass analysis) : 우량 관측점 관측 방법, 환경 등의 변화가 생겼을 때 자료의 일관성을 교정하기 위해 실시하는 방법. 문제 관측소의 연 혹은 계절 강우량 누적 총량을 부근의 관측점들의 누적 총량 평균값과 비교한다. 직선의 기울기가 변하면 해당 관측점에 어떤 변화가 생겼으며 교정해야 한다.[18]
  • 정상 연평균 강수량(normal annual precipitation) : 30년 이상 연 강수량 자료 평균값. 30년 이상 자료가 없으면 자료 기간 평균값.[19]
  • 강우강도(rainfall intensity) : 단위시간에 내리는 강우량(mm/hr)[20]
  • 지속기간(duration) : 강우가 지속되는 시간[20]
  • 평균발생빈도(mean frequency of occurrences) : 특정 크기 강우량을 초과하는 호우가 일정 연한 동안 평균적으로 발생할 횟수. 초과확률(exceedance probability) P로 표시[20]
  • 평균재현기간(mean recurrence interval or return period) T : 초과확률 P의 역수.[20]
  • IDF : 최대강우강도 - 지속기간 - 발생빈도(Intensity - Duration - Frequency)
  • DAD : 최대평균우량깊이 - 유역면적 - 강우지속기간(Rainfall depth - Area - Duration)

증발산[편집]

  • 실제증발산 : 자연상태의 식생, 환경에서의 실제 증발산량. 증발산계, 물수지방법, 증발접시와의 상관정도 등을 이용하거나 잠재증발산량을 산정 후 계수를 곱해 구할 수 있다.[21]
  • 잠재증발산 : 증발산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토양수분량, 일반적인 기후 상태, 조밀한 식생에서의 증발산량.[21]

각주[편집]

  1. 1.0 1.1 이재수, <<수문학>> 5쪽
  2.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5쪽. 청문각
  3. 이재수, <<수문학>> 287쪽
  4. 4.0 4.1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326쪽. 청문각
  5. 이재수, <<수문학>> 12쪽
  6.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111쪽. 청문각
  7. 7.0 7.1 7.2 7.3 7.4 7.5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33쪽. 청문각
  8. 이재수, <<수문학>> 34쪽
  9. 9.0 9.1 9.2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42쪽. 청문각
  10. 이재수, <<수문학>>, 41쪽
  11. 11.0 11.1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46쪽. 청문각
  12. 12.0 12.1 12.2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44쪽. 청문각
  13. 이재수, <<수문학>> 40쪽
  14. 14.0 14.1 이재수, <<수문학>> 45쪽
  15. 이재수, <<수문학>> 67쪽
  16. 16.0 16.1 16.2 16.3 16.4 이재수, <<수문학>> 68쪽
  17. 17.0 17.1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78쪽. 청문각
  18.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87쪽. 청문각
  19.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89쪽. 청문각
  20. 20.0 20.1 20.2 20.3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97쪽. 청문각
  21. 21.0 21.1 이재수, <<수문학>> 16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