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측량학/사진측량 기하학, 기준점측량, airborne GPS
보이기
< 사진측량학
사진축척
[편집]대축척(Large Scale) | 소축척(Small Scale) |
---|---|
|
|
기준면에 대한 축척
[편집]♣♣♣90, 00, 15-3 기사
- M : 축척
- m : 축척의 분모수
- f : 초점거리
- H : 촬영 고도
- l : 사진 상 거리
- L : 실제 거리
- 주의 : 축척 분모 분자 단위 일치시켜줘야 됨.
비고 있을 때 축척
[편집]♣♣♣ 04, 05, 09, 17-4, 19-1 기사
- h : 평균표고
사진좌표계
[편집]아날로그 사진
[편집]원점
- 지표를 서로 연결한 교차점
X축
- 비행 방향
Y축
- 비행방향의 직각축
Z축
- 지상 방향
투영 기하학적 조건
- 음화필름면
기하학적 유도를 위해선
- 양화면 기준이 편함
디지털 사진
[편집]영상좌표계 사용.
- 원점 : 제일 좌상단의 첫번째 픽셀
픽셀이란?
- 영상의 단위. 화소라고도 함.
영상처리 시
- 영상좌표 사용
실제 기하학적 조건 적용 시
- 투영중심을 원점으로 좌표변환
지상기준점 측량
[편집]지상기준점(GCP; Ground Control Point)♣
- 항공사진 측량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측량하여 설치한 기준점. 대상물의 수평위치(X, Y), 높이(H)의 기준이 됨.
- 사진측량에 의한 지도작성 경비 중 지상기준점 측량이 20-50% 차지
- 완성된 지도의 정확도는 지상기준점 측량 결과보다 좋을 수 없음. 따라서 지상기준점 측량이 중요.
사진기준점 선택
[편집]사진기준점의 2가지 요건♣
- 모든 사진 상에 선명하고 명확하게 인식되어야 함.
- 사진 상 유용한 위치에 있어야 함.
수평기준점 요건♣
- 위치가 매우 정확해야 함.
- 선명하고 수평적으로 날카롭고 명확해야 함. 예시 : 도로 교차부, 보도 교차부, 맨홀, 건물 모서리, 울타리 모서리, 전선주, 교량 모서리, 수로 표차부
- 그림자에 들지 않아야 함
사진기준점 위치, 수
[편집]수평기준점 | 수직기준점 | 비고 | |
---|---|---|---|
경사사진 표정,
위치결정 위한 사진마다 최소 기준점 수 |
2
(넓게 분포) |
3
(큰 이등변삼각형 분포) |
|
하나의 입체모델 당
(사진 겹치는 부분) 기준점 수 |
3
(넓게 분포) |
4
(모델 모서리 가깝게 위치) |
|
입체모델 표정 위한
기준점획득 목적의 스트립사진 항공삼각측량 |
2 | 3 또는 4 | 5번째 입체모델마다
있어야 함 |
인공표지
[편집]♣
- 초원, 산림 밀집 지역, 사막, 눈 덮인 지형처럼 지상점에 해당하는 사진 상의 점을 인식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패널 점(panel point)이라 불리는 인공기준점이 항공사진촬영 이전에 설치되어야 함.
- 이들 위치는 현장측량 또는 항공삼각측량에 의해 결정. 이 과정을 선점(premarking), 또는 패널링(paneling)이라 함.
인공표지 단점 3가지
- 타겟 설치 위한 현장작업, 고경비
- 설치시간 소요. 설치 후 촬영 전까지 기준점이 움직일 우려
- 사진 상의 원하는 위치에 적절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음.
인공표지의 요건
- 양호한 contrast. 무광택
- 중앙점 측정 가능한 대칭형태가 좋음
- 사진 상 축척 고려한 적절한 크기. 중심판 한 변의 길이는 사진 상에서 30μm (축척 이용한 계산문제 나올 수 있음♣)
- 대상지 색을 고려하여 사진 상에서 잘 인식되도록 색상 선택
- 표식 상부 고도각 45도 이내 장애물 없어야 함
- 지면에서 30cm 정도 높게 설치
- 중심 바깥 인식표는 사진 상에서 기준점 찾기 용이하게 해주고, 타겟중심이 선명하지 않은 경우 정확한 중심을 찾게 해줌.
- 내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