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사용자:Gcd822/토목기사 오답노트/상하수도 공학/상수도시설 계획

위키배움터

계획급수량의 산정

[편집]

♣♣♣14-1, 14-2, 15-2, 16-4, 18-1, 19-1 종합적인 이해 필요

시간 최대급수량 또는 화재시 수량을 계획 기준수량으로 하여 결정되는 것은?

  • 배수관망

정수를 위한 약품, 전력 등 산정이나 유지관리비, 수도요금 산정 등 수도재정 계획의 기준이 되는 급수량은?

  • 1일 평균 급수량(예상)

상수도 정수시설 규모 결정 시 사용되는 설계정수량은?

  • 계획 1일 최대급수량. 상수시설 계획 송수량도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을 기준으로 정함

계획 1일 평균 급수량

[편집]

생활 수준이 높고 공업도시일수록 1인 1일 평균급수량이 증가한다. 수도 요금을 정액제로 할 때가 종량제로 할 때보다 1인 1일 평균급수량이 커진다. 수압이 높을수록 수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평균 급수량 역시 증가한다.

계획 1일 최대 급수량

[편집]

상수도 시설 규모, 1일 계획 취수량 결정의 기준이 되는 급수량이다.

계획 시간 최대 급수량

[편집]

1일 중 사용 수량이 최대가 될 때의 1시간 당 급수량이다. 배수본관의 설계 시 이용된다.

[1][2]

계획오수량 vs 계획급수량
구분 계산식 농촌, 주택,

소도시

주택,

아파트

중소도시 대도시

공업도시

다음의 설계에 사용
1일 평균 급수량 1일 최대 급수량 X 0.7 0.85 수도재정 계획(약품비, 전력비,

유지관리비, 수도요금)

오수량 1일 최대 오수량 X 0.80
1일 최대 급수량 1일 평균급수량 X 1.5 1.3 상수도시설 규모,

1일 계획 취수량,

계획 송수량

오수량 (1인 1일 최대 오수량 × 계획 인구) + 공장 폐수량 + 지하수량 + 기타 배수량 하수처리장 규모
시간 최대 급수량 1일 최대 급수량/24 X 2.0 1.5 1.3 배수본관
오수량 1일 최대 오수량/24 X 1.8 오수관,

하수처리장 내 연결관거

1. 96

급수인구 20만, 계획 1인 1일 최대 급수량 300L, 급수 보급률 85%, 급수량 산출계수 0.7일 때 계획 1일 평균 급수량(m3)은?


계획 1일 최대급수량은 명수만큼 곱해야되니까 300L × 20만 명

그 다음 급수 보급률 0.85와 급수량 산출계수 0.7을 곱하면 35700000L. 이걸 m3으로 고치려면 10-3을 곱해주면 된다. 답은 35700m3

오류 의심

급수인구는 이미 총인구에 급수보급률을 곱한 것[3][4]이기 때문에 0.85를 제외하고 계산하여 42000m3이어야될 것 같다.

집수매거

[편집]
1925년 샌프란시스코의 집수매거

복류수 취수 시 쓰임

15-1, 17-1, 18-3

  • 집수매거 내 평균유속은 유출단에서 1m/s
  • 집수개구부(공) 직경은 10-20cm. 1m2 당 20-30개
  • 직접 지표수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매설깊이는 5m 이상
  • 복류수 흐름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설치해야 효율이 좋음

호소의 물순환 및 부영양화

[편집]

부영양화 대책

12-3, 13-1, 16-1, 19-3

  • 활성탄, 황산동(CuSO4), 염산동(CuCl2)
  • 정수장에서 마이크로 스트레이너 전처리

BOD

[편집]
  • 하천수 5일 BOD(BOD5)에서 주로 측정되는 것은 탄소성 BOD(17-1)

BOD 잔존량

[편집]

02, 06, 15-1, 19-2

t일 후 잔존하는 BOD(mg/L)를

 : 최초 BOD(mg/L) 또는 최종 BOD(=BODu)
 : 탈산소 계수(day-1)
t : 경과 시간(day)

BOD 소비량

[편집]

15-3

t일 동안 소비된 BOD(mg/L)를 Y(예 : )라 하면,


15-3, 16-2

탈산소계수 0.1/day. 어느 폐수의 5일 BOD = 300mg/L. 이 폐수의 3일 후 남아있는 BOD?


5일 BOD = BOD 소비량 = Y = 300mg/L

3일 후 잔존 BOD 계산



2. 96, 03, 06

최종 BOD가 5일 BOD의 1.8배. 밑 10인 상용대수를 쓸 때 탈산소계수?


BOD 소비량 공식

하천 합류 시 오염물질 농도 변화

[편집]

A하천과 B하천이 합류된 하천의 오염 물질 농도(Cm)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A하천의 유량을 QA, 오염 물질 농도를 CA라 하고, B하천의 유량을 QB, 오염 물질 농도를 CB라 할 때, 여기서 말하는 오염 물질 농도는 BOD 등이 가능하다.

15-1, 19-2

각주

[편집]
  1. 이종형 외. 《상하수도 공학》 5판. 구미서관. 30쪽. 
  2. 노재식 외 (2016). 《토목기사 필기 상하수도공학》. 한솔아카데미. 31쪽. 
  3.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 - 상수도 이용 현황
  4. KDS 57 10 00 :2017 상수도설계 일반사항 2.5 기본사항의 결정

참고 문헌

[편집]
  • 이종형 외. 《상하수도 공학》 5판. 구미서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