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발산

위키배움터

상위 문서 : 수문학

물수지 방법[편집]

증발량

S : 저수지 저류량
I : 저수지로의 지표면 유입량
P : 강수량
O : 저수지로의 지표면 유출량
Og : 지하로의 침투량

에너지 수지 방법[편집]

Q0 : 증발표면에 저장된 에너지 변화
Qs : 증발표면에 도달하는 태양복사에너지
Qr : 증발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태양복사에너지
Qa : 증발표면으로 입사하는 장파복사에너지
Qar : 증발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장파복사에너지
Qv : 저수지로 유입 혹은 유출되는 물로 인한 순 에너지 변화량
Qbg : 증발표면의 물이 방사하는 장파복사에너지
Qe : 증발에 사용된 에너지
Qh : 증발표면으로부터 대기로 전도된 에너지
Qw : 증발된 물로 인해 손실된 에너지

모든 항의 단위는 cal/cm2/day

Qbg, Qw는 크기가 미소하여 생략할 수 있다.

Qb = Qar - Qa = 증발표면에서 장파복사에너지 교환량

증발량(mm)

Hv = 597.3 - 0.564t [cal/g]

t : 수면 온도(°C)

태양복사에너지 Qs[편집]

a, b : 지역 상수
QA : 대기권 내 도달하는 단위면적당 일평균 태양방사열량 또는 특정월의 일평균 태양상수(cal/cm2/day)라고 표시한 책도 있다.[1]
D : 월별 최대가능일조시간
n : 월별 일조시간
 : 일조율

반사복사에너지 Qr[편집]

Qr = r Qs

r : 반사계수

장파복사에너지 교환량 Qb[편집]

σ : Stefan-Boltzman 상수.
Ta : 대기의 절대온도
ε : 방사율
c, d : 지역 상수
ea : 증발표면상 2m 위치에서 실제증기압(mmHg). 지상 2m라고 한 책도 있음.[2]

전도에너지 Qh[편집]

Bowen 비

γ : 습도계 계수
e0 : 수면온도 t0°C에서 포화증기압(mb)
ea : 대기온도 ta°C에서 실제증기압(mb)
p : 대기압(mb)

1mb = 0.75mmHg = 100Pa

저수지 유입 및 유출수로 인한 순에너지 변화량 Qv[편집]

유입 또는 유출되는 물의 온도변화가 별로 없다면 순에너지 변화량은 거의 무시 가능.

Qv = 0

저수지 저장에너지 변화량 Q0[편집]

증발량 산정기간이 짧아 수온 변화를 무시할 수 있다면

Q0 = 0

최종 증발량 산정[편집]

증발 영향 인자[편집]

  1. 온도
  2. 상대 습도
  3. 수질
  4. 증발면 성질, 형상
  5. 바람
  6. 대기압
  7. 증기압, 포화증기압

증산 영향 인자[편집]

  1. 식물 생리학적 인자 : 다공 밀도, 특성, 엽면 구조 등. 광범위한 지역을 다룰 때 중요도는 낮다.
  2. 환경학적 인자 : 온도, 태양복사열, 바람, 토양 함유 수분

각주[편집]

  1. 이재수, <<수문학>>, 153쪽
  2. 이재수, <<수문학>>, 157쪽

참고 문헌[편집]

  • 윤용남, <<기초수문학>>(2010), 138-146쪽. 청문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