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정보
|
|
진행 상황: 이 자료는 완성되었거나 거의 완성 단계에 있습니다.
|
|
|
교육 수준: 이 자료는 고등학교 강의 수준의 자료입니다.
|
|
|
자료 형식: 이 자료는 문서형식의 자료입니다.
|
|
|
과목 정보: 이 자료는 수학 과목의 자료입니다.
|
|
|
학습 목표: 행렬의 덧셈, 뺄셈, 곱셈의 뜻을 알고, 그 연산을 할 수 있다.
같은 꼴인 두 행렬 에 대하여 와 의 대응하는 성분의 합을 성분으로 하는 행렬을 와 의 합이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1] 예를 들어 행렬의 덧셈은 다음과 같습니다.[2]
행렬의 덧셈
일 때,
|
실수의 덧셈에서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이 성립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행렬의 덧셈에서도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합니다.
행렬의 덧셈에 대한 성질 ⑴
같은 꼴인 세 행렬 에 대하여
① |
(교환법칙)
|
② |
|
|
모든 성분이 인 행렬을 영행렬이라고 합니다.[4] 예를 들어
은 모두 영행렬입니다. 영행렬은 각 꼴에 대하여 하나씩 있으나, 혼동의 염려가 없을 때에는 보통 기호 로 나타냅니다. 행렬 와 영행렬 가 같은 꼴일 때,
가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영행렬은 같은 꼴의 행렬의 집합에서 덧셈에 대한 항등원입니다. 또 행렬 의 모든 성분의 부호를 바꾼 행렬을 와 같이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 일 때,
입니다. 이때 행렬의 덧셈의 정의에 의하여 행렬 와 영행렬 가 같은 꼴일 때,
가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행렬 는 같은 꼴의 행렬의 집합에서 행렬 의 덧셈에 대한 역원입니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행렬의 덧셈에 대한 성질 ⑵
같은 꼴인 행렬 와 영행렬 에 대하여
③ |
( 는 덧셈에 대한 항등원)
|
④ |
( 는 의 덧셈에 대한 역원)
|
|
같은 꼴의 두 행렬 에 대하여 에 의 덧셈에 대한 역원 를 더한 를 기호로
와 같이 나타내고, 이것을 행렬 에서 행렬 를 뺀 차라고 합니다.[5][6] 이때 는 행렬 의 각 성분에서 그에 대응하는 행렬 의 성분을 뺀 차를 성분으로 하는 행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행렬의 뺄셈은 다음과 같습니다.[7]
행렬의 뺄셈
일 때,
|
한편 같은 꼴의 세 행렬 에 대하여
가 성립할 때, 이 등식의 양변에 행렬 의 덧셈의 역원 를 더하여 간단히 하면 다음 결과를 얻습니다.[8]
따라서 행렬의 덧셈과 뺄셈으로 이루어진 등식은 다항식의 덧셈과 뺄셈으로 이루어진 등식과 같이 이항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임의의 실수 에 대하여 행렬 의 각 성분을 배한 것을 성분으로 하는 행렬을 행렬 의 배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행렬의 실수배는 다음과 같습니다.[9]
행렬의 실수배
와 실수 에 대하여
|
행렬 와 영행렬 가 같은 꼴이고 가 실수일 때, 행렬의 실수배의 정의에 의하여 다음이 성립함을 알 수 있습니다.[10]
행렬의 실수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합니다.
두 행렬 에 대하여 행렬 의 열의 개수와 행렬 의 행의 개수가 같을 때, 행렬 의 제행의 성분과 행렬 의 제열의 성분을 각각 차례로 곱하여 더한 값을 성분으로 하는 행렬을 두 행렬 의 곱이라고 하며, 이것을 기호로
와 같이 나타냅니다.[11] 이때 행렬 가 행렬이고 행렬 가 행렬이면 행렬 는 행렬입니다. 예를 들어 행렬의 덧셈은 다음과 같습니다.[12]
행렬의 곱셈
일 때,
|
한편 수의 거듭제곱과 마찬가지로 정사각행렬 에 대하여
와 같이 행렬의 거듭제곱을 정의합니다.[13][14][15]
두 실수 에 대하여 교환법칙 가 성립함을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두 행렬 에 대하여
이므로 :입니다. 즉 행렬의 곱셈에서는 실수의 곱셈에서와는 달리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습니다.
행렬의 곱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성질이 성립합니다.
행렬의 곱셈에 대한 성질
합과 곱이 정의되는 세 행렬 와 실수 에 대하여
|
두 행렬 에 대하여
입니다.[17] 그런데 행렬의 곱셈에서는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으므로 어떤 두 행렬 에 대하여
입니다.
정사각행렬 와 같은 꼴의 영행렬 에 대하여
가 성립합니다.[18] 그러나 같은 꼴의 정사각행렬 에 대하여
- 이지만
인 경우가 있습니다.[19] 예를 들어 일 때, 이지만 입니다.
- ↑ 같은 꼴이 아닌 두 행렬의 덧셈은 정의되지 않습니다.
- ↑ 두 행렬 가 같을 꼴일 때,
- ↑ 행렬의 덧셈에서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와 를 괄호를 사용하지 않고
와 같이 나타내기도 합니다.
- ↑ 영행렬(零行列)을 영어로 zero matrix라고 합니다.
- ↑ 같은 꼴이 아닌 두 행렬의 뺄셈은 정의되지 않습니다.
- ↑ 두 실수 에 대하여
- ↑ 두 행렬 가 같을 꼴일 때,
- ↑ 가 실수일 때,
- ↑ 이고 가 실수일 때,
- ↑ 실수 에 대하여
- ↑ 두 행렬 의 곱 는 행렬 의 열의 개수와 행렬 의 행의 개수가 같을 때에만 정의됩니다.
- ↑ 두 행렬 이고 일 때,
- ↑ 입니다.
- ↑ 행렬의 곱셈의 정의에 의하여 가 정사각행렬일 때에만 행렬의 거듭제곱 이 정의됨을 알 수 있습니다.
- ↑ 임의의 자연수 에 대하여
- ↑ 행렬의 곱셈에서 결합법칙이 성립하므로 와 를 괄호를 사용하지 않고
와 같이 나타내기도 합니다.
- ↑ 두 행렬 에 대하여
- ↑ 실수 에 대하여
- ↑ 두 실수 에 대하여